허공에 걸린 시 한 줄
김미경
폭염정보가 화살처럼 날아온 아침 출근길 허공에서 저희끼리 날개 펴고 있는 초록 잎 사이 자색 꽃 한 송이 차창 안으로 들어와 셔터를 누른다. 나는 너에게 당신에게 그대에게 꽃 한 송이 날린다 너는 행운이라 하고 당신은 눈물이라 하고 그대는 수천의 환호라 하고 지금껏 만나지 못한 끈끈한 시 한 줄 품고 있는 자목련 단단한 무성음으로 허공에 걸려있다.
*김미경(1967~ ): 충북 단양 출생. 2002년 「문학공간」 등단. 한국문협회원. 충주문협회원. 풀꽃 동인, 시집 「내 안의 노을」 공저 「비와 바람의 숲에서」 외 다수.
시인은 폭염정보가 화살처럼 날아 온 출근길에서 자목련 한 송이를 만납니다. 목련이야 꽃잎이 떨어지고 잎이 나는 게 자연이건만, 이미 꽃잎이 다 떨어지고 초록이파리가 벌써 나고 자랐는데, “허공에서 저희끼리 / 날개 펴고 있는 초록 잎 사이 / 자색 꽃 한 송이” 탐스럽거나 우아한 자목련을 보았으니, 카메라 셔터를 누를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시인은 이렇게 카메라에 담긴 한 송이 자목련을 “너에게 당신에게 그대에게” 보냈으니, 꽃을 받아든 이들이 자목련에 대하여 답장을 보내옵니다.
“너는 행운이라 하고 / 당신은 눈물이라 하고 / 그대는 수천의 환호라 하고 / 지금껏 만나지 못한 끈끈한 시 한 줄 / 품고 있는 자목련“에 대하여, 서로 다른 메아리로 화답합니다.
시인은 출근길에 만난 자목련을 “단단한 무성음으로 허공에 걸려”있다. 쓰고, <허공에 걸린 시 한 줄>이라 읽습니다. 때 늦은 자목련 한 송이가 시인의 눈에 들어와, 한 줄 시로 남겨집니다.
시인은 <풀꽃>이란 또 다른 시에서 고백합니다. “화려하고 싶지 않았다 / 바람이 불면 바람에 기대고 / 비가 오면 비를 맞고 / 햇살이 비추면 살며시 웃음 짓는 / 천천히 보아야 /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 잔잔히 보아야 아름다운” - <풀꽃>
시인은 스스로를 풀꽃이라 자칭했습니다. 스스로 낮춤으로 다스려지는 무위(無爲)를 품고 있느니, 불경이 되고, 도덕경이 되는 시의 뜻이 느껴집니다. 시절을 잊은 자목련을 시로 읽어내는 아름다운 김미경 시인입니다. <저작권자 ⓒ 충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홈피에 게재돼 있는 모든 이미지를 무단도용, 사용이 발각되는 즉시 민형사상 책임을 받게 됩니다. ※ 외부 기고는 충주신문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고문은 원작자의 취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가급적 원문 그대로 게재함을 알려드립니다. ![]() |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