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과학기술대학 응용화학과의 김연호 교수 연구팀이 그린 수소 생산이 가능한 신규 광촉매 소재 기술과 관련된 연구 결과를 나노분야 저명 국제저명학술지인 ‘Small(IF: 13.3, JCR: 6.4%)’에 발표했다.
김연호 교수 연구팀은 그린 수소 생산의 핵심소재인 광촉매의 특성 향상을 위해 산화 아연(ZnO)에 산소 결함을 만들어내고, 금 입자를 원자 단위로 채우는 방식을 통해 촉매 특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연구팀은 산화아연-금 접하구조체 내에서 일어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현상에서 비롯된 효율적인 전하이동으로 인해 광촉매 크게 향상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광흡수 영역대를 넓혀 가시광선-자외선에서 모두 광촉매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개발된 신규 광촉매 소재는 시간당, 촉매 g당 25.84mmol 그린 수소를 생산했으며 이는 단일 광촉매 물질인 산화 아연에 비해 48.58배 향상된 수소 생산력을 보였다. <저작권자 ⓒ 충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홈피에 게재돼 있는 모든 이미지를 무단도용, 사용이 발각되는 즉시 민형사상 책임을 받게 됩니다. ※ 외부 기고는 충주신문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고문은 원작자의 취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가급적 원문 그대로 게재함을 알려드립니다. ![]()
관련기사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