穀(곡)자의 부수는 벼화(禾)

이찬재 | 기사입력 2016/10/03 [15:30]

穀(곡)자의 부수는 벼화(禾)

이찬재 | 입력 : 2016/10/03 [15:30]
오곡백과를 수확하는 계절이 되었다. 곡식을 대표하는 벼(禾)는 익어서 추수를 할 때가 되면 고개를 숙인다. 벼화(禾)자의 윗부분이 왼쪽으로 머리를 숙인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사람도 인격이 성숙되면 고개를 숙여 겸손의 미덕을 보이는 것과 같다.
곡(穀)자의 자원을 찾아보면 뜻을 나타내는 벼화(禾: 곡식)部와 음을 나타내는 글자 殼(각: 단단한 껍질)으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곡식은 모두 단단한 껍질로 덮여있다는 데서 모든 곡물을 뜻하는 글자이다. 곡식(穀食)외에도 ‘정성(精誠), 기르다, 양육(養育)하다, 살다, 생장(生長)하다, 좋다, 길(吉)하다’ 등의 의미도 있으며, ‘어린아이, 젖, 젖 먹이다’ 등의 뜻으로 쓸 때는 ‘누’라고 발음한다. 예전에 녹봉(祿俸)으로 받는 쌀인 녹미(祿米)를 곡(穀)이라 하였다. 곡식의 낱알 껍질을 곡각(穀殼)이라 하고, 곡식(穀食)의 줄기를 곡간(穀幹)이라 한다. 이삭열매를 곡과(穀果)라 한다. 곡식으로 만든 음식의 분량(分量)을 곡기(穀氣)라 한다. 음력 정월 초여드렛날을 이르는 말인 곡단(穀旦)이 있고, 곡식을 넣어 보관하는 다락의 곳간을 곡루(穀樓)라 한다. 사람이 주식(主食)으로 하는 곡식, 즉 쌀, 보리, 조, 콩 등을 곡물(穀物)이라 한다. 곡식과 비단(緋緞)을 곡백(穀帛)이라 하고, 곡식의 생산수량을 곡수(穀數)라 한다. 곡식 장사, 양곡(糧穀)장사를 곡상(穀商)이라 하고, 곡식의 가격을 곡가(穀價)라 한다. 강장제(强壯劑)로 쓰이는 닥나무의 열매를 곡실(穀實)이라 하고, 음력 정월 초여드렛날을 즐거운 날, 경사스러운 날, 길일(吉日), 곡단(穀旦)이라 한다. 곡식을 거둔 수량을 곡출(穀出)이라 하고, 곡식이 많이 나는 곳, 또는 곡식을 넣어 두는 창고를 곡창(穀倉)이라 한다. 볏가리를 곡퇴(穀堆)라 하고, 곡식과 비단을 곡폐(穀幣)라 한다. 낟알로 된 음식만 먹어서 생기는 황달(黃疸)을 곡달(穀疸)이라하고, 껍질을 벗기지 아니한 곡식의 알을 곡립(穀粒)이라 한다. 곡식을 빻거나 갈아서 만든 가루를 곡분(穀粉)이라 하고, 곡식의 자양분(滋養分)을 곡정(穀精)이라 한다. 이삭을 떨어 낸 줄기를 곡초(穀草)라 하고, 곡식이 풍성하게 많음을 곡희(穀餼)라 한다. 가을장마로 이삭에 싹이 돋아남을 곡두생각(穀頭生角)이라 하고, 밥 먹고 옷 입는 일을 곡복사신(穀腹絲身)이라 한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조길형 충주시장, 2024년 갑진년 새해 충혼탑 참배
1/19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