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다리 걸치기

박상옥 | 기사입력 2019/09/19 [18:03]

양다리 걸치기

박상옥 | 입력 : 2019/09/19 [18:03]

 

양다리 걸치기

 

정태준(1944~ )

 

어머니 방에 들어가

이 얘기 저 얘기 하다가

아내의 흉을 보기 시작한다

뭐가 어떻구

뭐가 어떻구

 

주방에 들어가

아내의 어깨를 은근히 주물러 주면서

어머니 흉을 보기 시작한다

뭐가 어떻구

뭐가 어떻구

 

흉을 보면 볼수록

어머니와 아내는

참 다정스런 고부간이 된다

 

내일 모레쯤

한 번 더 흉을 봐야겠다.

 

 

▲ 박상옥 시인     ©

유안진 시인이 ‘헌신과 희생을 고통 아닌 삶의 보람으로 여겨 즐겨 혼신을 다하는 여성이야말로 모든 생명을 있게 하고 키우고 고양시켜 주는 신성(神性)일 것입니다. 그래서 이 시집은 모든 어머님들과 모든 아내들에게 바치는 모든 자식들과 모든 남편들의 헌시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라는 표사가 달린 시집입니다.

 

『어머니 그리고 아내』란 시집은 월북한 정호승(鄭昊昇, 본명 英澤, 1916년 충주 생) 시인을 아버지로 둔 까닭에 월복작가들의 작품이 해금되고서도(1988) 한참만에야 난생 처음 아버지의 『모밀꽃』 시집을 보며 울었다는 <추심>의 작곡가 정태준 시인이 『어머니 그리고 아내』를 향한 내밀한 심리가 담겼습니다. 한 많은 어머니 삶에 대한 연민과 아내에 대한 사랑이 절절합니다.

 

초등학교를 일곱 군데나 전학 다닌 사연은, 한 때 반공을 국시로 삼은 정치역사로 인하여 끝끝내 기를 펴지 못한 애환 중 하나이며. <사직과 해직> <끝없는 길> <겨울밤> <업보> <무거운 길> <표정> <무덤> <가묘> … “어머니는 무쇠덩어리 // 늙어 몸이 가벼워질수록 /무거워만 진다 / 가출하고 싶다 / 가벼운 어미를 업고 달리고 싶다”( p.31 <홀어미>) 등등 제목에서조차 눈물이 읽힙니다.

 

시집 출간한지 20년이 되어가니, 응석이 늘어가는 어머니와 강짜가 늘어가는 아내 사이에서 <양다리 걸치기>로 살던 시인도 당신 어머니 연세가 되었을 테지요. “선생님, 세상은 지금 남존여비(男尊女卑)를 끝내고 남녀평등(男女平等)을 출구로 삼아서, 몇몇 막무가내 여성들은 여존남비(女尊男卑)로 치닫고 있는 것만 같습니다, 점점 양다리조차 힘들어지는 세상에 안녕하시죠.”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조길형 충주시장, 2024년 갑진년 새해 충혼탑 참배
1/19
광고
광고
광고